장례절차

※ 첫째 날

① 임종 및 운구
자택에서 사망 시 병원 또는 장례식장으로 이송한다.
병원에서 사망 시 장례식장으로 이송한다.
사망 후 장의자동차를 이용하여야 한다.

② 수시
고인의 옷과 몸을 바로 하여 수시를 한다.

③ 고인 안치
장례식장 안치실에 고인 안치한다.

④ 빈소 선택 및 빈소 설치
영정사진 및 파일을 준비한다.
문상객의 인원 등을 고려하여 빈소를 선택한다.
종교별 기타 사항에 따라 빈소에 영좌 설치한다.

⑤ 부고(訃告)
부고장 양식 참조하여 부고장, 전화, 문자 작성 후 발송한다.

⑥ 상식 및 제사상(제물)
고인이 살아계신 때와 같이 식사를 올린다.
장례식장과 장례절차 상담 시 결정한다.
종교에 따라 의식이 다르다.

※ 둘째 날

① 염습
고인을 정결하게 씻기거나 소독하여 수의를 입히는 것으로 입관 전에 행하는 절차이다.

② 반함
반함은 고인의 입에 불린 쌀과 엽전 혹은 구슬을 물려 입안을 채우는 일로 현대에는 불린 쌀로만 반함하며, 상주, 상제, 주부, 복인 중 상주가 진행하되, 원하는 유가족은 고인에게 반함할 수 있다.

③ 입관
입관(入棺) : 고인을 관에 모시는 것을 말하며 입관이 끝나면 관보를 덮고 명정(銘旌)을 발치 쪽에 세운다.

④ 성복
입관 후 정식으로 상복을 입는다는 뜻으로 상제(고인의 배우자, 직계비속)와 복인(고인의 8촌 이내의 친족)은 성복을 한다.

⑤ 성복제
상복으로 갈아입고 제사음식을 차린 후 고인께 제례를 드림.
종교별 행사(성복제, 입관 예배, 입관예절 등) 진행.

※ 셋째 날

① 발인식
영구가 떠나는 절차이다.
관을 이동할 때는 항상 머리 쪽이 먼저 나가야 하며(천주교의 경우 발이 먼저 나가는 경우도 있음) 발인에 앞서 간단한 제물을 차리고 제사를 올리는데 이를 발인제라 한다.

② 운구
발인제가 끝난 후 영구를 장지(화장시설)까지 영구차나 상여로 운반하는 절차이다.
장의차를 이용할 경우에는 영정, 명정, 영구를 실은 후 상주, 상제, 복인, 문상객의 순으로 승차하여 운구한다.

③ 매장, 화장

화장시설 도착
화장서류 : 사망진단(시체검안)서 1부, 주민등록등본 1부 등을 제출하여 접수한다.
상기 서류는 각 화장시설마다 다를 수 있다.
화장로 운구 : 화장시설 근무요원의 지시를 따라서 진행 한다.

묘지도착
공원묘지 등을 이용하는 경우에는 묘지도착 후 관리사무소에 서류를 접수한 후 승인 후 직원의 안내를 받아 하관을 하도록 한다.
필요서류 : 사망진단서 1부, 주민등록등본 1부, 신청서(공원묘지 비치) 1부, 고인 증명사진 1매
상기 서류는 각 공원묘지마다 다를 수 있다.

④ 장례 후 의례
山神祭(산신제) : 묘사와 제사에는 먼저 산신제를 지낸다. 이때는 향, 모사 없이 지내며, 묘지 우측에 진설하고 고축한다.
平土祭(평토제) : 성분제 혹은 제주제라고도 한다. 하관을 마치고 난 후, 달구질을 하고 봉분을 만들고 나면 묘 앞에 제물을 진설하여 제사를 지내는데 이를 평토제라 한다.
종교별로 의식이 다르게 진행된다.